여자는 28세가 제일 행복하다? 篇隣2009. 6. 28. 10:41
여자는 28세가 제일 행복하다는 기사를 봤다. 글쎄, 여자가 아니긴 하나, 개인적으로 여자는 27, 8세가 제일 황금기인 거 같긴 하다. 아직 젊고, 사회적으로도 풋내기 티를 벗고 슬슬 세상을 아는 나이니까(또는 알기를 강요하는 나이니까).
남자는 언제가 피크? 대한민국 남자는 군대 때문에 여자보다 사회 진출이 좀 늦어 서른 전후. 남자 27세면 군필자는 사회 진출을
막 했을 때라... 물론 학교에서는 왕고겠지만. 물론 남자도 서른 전후면 몸이 맛가기 시작하는 건 인정. 그래서 남자는 사회적
성숙도와 신체적 성숙도가 여자에 비해 언밸런스가 더 크다. 군대 안 가는 다른 나라의 남자는 역시 27세 전후가 피크일 듯 하다.
그
이후? 그 이후는 얼마나 유지 잘 하냐 싸움인 듯. 육체적인 것도 운동 안 하면 쉬이 맛가버리고, 지적 능력과 학습 능력도 책을
놓는 순간 순식간에 돌대가리가 된다. 늘 하는 것은 그럭저럭 잘 하지만 안하는 것은 나이를 먹으면 먹을수록 순식간에 퇴화된다.
즉 정점에서 완만한 기울기로 내려오느냐, 급한 기울기로 내려오느냐일 듯 하다.
특히 신체적
건강 유지가 매우 중요한데, 나이 먹을수록 병원 신세 질 확률이 점점 더 커지고, 건강 안좋으면 할 수 있는 일이 그닥 많지
않을 뿐더러, 더 중요한 점은 '마음이 약해진다'. 생각해보라, 아파서 골골대는 사람이 무언가 새로운 것에 뛰어들 수
있겠는가를. 무릇 도전이란, 사람은 원래 미지의 것에 대한 공포가 있기 때문에 팔팔한 애들에게도 쉽지 않다. 하물며 아파서
골골대는 사람에게서랴.
그래서 인생의 황금기란 어찌 보면 사람마다 다를
것이다. 어려서 천재성을 발휘하여 학문적 업적을 이루고 요절한, 수학의 천재 아벨 같은 사람도 있거니와, 카이사르 같은 사람도
있는 법, 장문을 휘갈겨썼으나 결론은 뻔한데, 통계적으로 27, 8세가 인생의 황금기인 사람이 많을지는 모르겠으나 나에겐 꼭
그런진 않다는 점. 생보사들이 내는 평균 수명이 나랑은 일절 관계가 없는, '평균의 함정'에 빠질 일은 아닐 듯.
무릎팍도사에서 안철수씨가 한 말로 기억하는데, 성공이란 준비와 기회의 만남이란다. 앞머리와 수엽 덥수룩한 기회가 왔을 때 알아보고 홱 나꿔챘을 때, 그 때야말로 그 사람 인생의 황금기일 것이다(그런데 본인은 그게 황금기인지도 모를 것이다). 그러니, 저런 기사 보고 '난 늙었네 어쨌네'보다는 책 한 자 더 보고, 운동 좀 더 하고, 건전하지만 화끈하게 잘 놀고, 앞으로 어찌 살까 궁리하고 실천하는 것이 진정한 인생의 황금기를 맞이할 수 있는 제대로 된 자세일 것이다.
그리고 만약 그대가 어제보다 더 나은 오늘을 살아왔다면, 오늘이야말로 새로이 만들어진 당신 인생의 황금기이다.
(덧)